그 동안 납부 거부를 해야지 해야지 하면서 못했었는데, 오늘에서야 비로소 신청을 하였다.
원체 TV를 보지 않는데다가, 간혹 뉴스라도 보려고 하면 K모 방송사의 왜곡 방송이 너무 맘에 안들어서 납부 거부를 결심하게 되었다.
그럼 TV 수신료 납부 거부를 하기 위한 조건은 어떨까? 상담원의 말에 의하면 TV를 보유만 해도 내야한다는 것이다. -_-; 요즘에는 케이블을 돈주고 보는 사람들도 많은데, 누가 KBS를 골라서 본단 말인가.. 매우 어이가 없는 기준이지만, 본인은 TV가 아예 없기 때문에 간단히 넘어갔다.
TV 수신료 납부 거부 방법은 의뢰로 간단하다. 02-781-1000 -> 1번을 선택 후 상담원이 연결되면, TV 안보니까 수신료 안내겠다고 신청하면 된다. 그럼 주소 확인 후에 바로 등록시켜준다. 왜 수신료를 안내느냐고 묻지도 따지지도 않아서 상담 자체는 매우 만족스러웠다 ^^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왠만한 컨텐츠는 인터넷으로 모두 즐길 수 있고, 시간 맞춰서 TV 앞에 기다려서 드라마를 보기가 쉽지 않은 직장인들도 많다. 이런 경우 굳이 매달 3천원 가까운 돈을 납부하는 것은 너무 아깝다고 생각한다. 본인처럼 TV와 친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꼭 TV 수신료 납부 거부를 하도록 하자.
그럼 TV 수신료 납부 거부를 하기 위한 조건은 어떨까? 상담원의 말에 의하면 TV를 보유만 해도 내야한다는 것이다. -_-; 요즘에는 케이블을 돈주고 보는 사람들도 많은데, 누가 KBS를 골라서 본단 말인가.. 매우 어이가 없는 기준이지만, 본인은 TV가 아예 없기 때문에 간단히 넘어갔다.
TV 수신료 납부 거부 방법은 의뢰로 간단하다. 02-781-1000 -> 1번을 선택 후 상담원이 연결되면, TV 안보니까 수신료 안내겠다고 신청하면 된다. 그럼 주소 확인 후에 바로 등록시켜준다. 왜 수신료를 안내느냐고 묻지도 따지지도 않아서 상담 자체는 매우 만족스러웠다 ^^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왠만한 컨텐츠는 인터넷으로 모두 즐길 수 있고, 시간 맞춰서 TV 앞에 기다려서 드라마를 보기가 쉽지 않은 직장인들도 많다. 이런 경우 굳이 매달 3천원 가까운 돈을 납부하는 것은 너무 아깝다고 생각한다. 본인처럼 TV와 친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꼭 TV 수신료 납부 거부를 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