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재테크

당신의 돈에대한 또하나의 잘못된 상식

by 얌베비 2008. 2. 4.
1.금리를 따지기 전에 생각해야 하는 사항들
많은 분들이 조금이라도 이자가 높은 상품, 대출금리가 0.1%라도 싼 상품을 권해달라고 물어오십니다. 물론 권해드립니다. 그러나 권하는 사람 입장에서 늘 가슴속에 있는 답답함은 과연, 이 상품이 그분에게 맞는 상품일까라는 의문입니다.


왜?
보통 자문을 받고자 원하시는 분들은 내일 5천만원 적금 만기가 되는데 좋은 상품을 선택해 달라는 말씀을 많이 하시게 됩니다. 만약 제가 3년 만기 채권 9%이므로 지금 정기예금 8%보다 높으므로 채권을 매입하라고 조언드렸다면 맞는 조언일까요? 결코 정확한 조언이 아닙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상품가입의 판단은 단순한 금리비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만약 고객이 2년후 집을 살지도 모르고, 자녀가 갑자기 유학갈지도 모르고, 남편이 갑자기 직장을 잃을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럴가능성이 높다면 당연히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전문가의 책임이죠.



2.상식을 고쳐주는 전문가
재테크에 있어서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 만기관리의 실패와 대출금 상환의 실패가 있습니다. 기껏 장기 적금에 가입하였는데 중간에 이러저러한 문제로 해지한다거나, 대출을 받기는 했는데 매달 연체한다거나, 원금을 값을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거나 하는 등입니다.


금융기관에 종사하는 분들은 대개 매우 바쁘신 분들입니다. 고객이 은행에 찾아와 상담이라도 할라치면 어찌되었거나 판매 캠페인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가입시키려고 노력합니다. 이때 덜컥 넘어가게 되면 매달 적금을 내면서도 기분이 좋지 않게 됩니다. 보험도 마찬가지 고요.


네오머니에서 인생의 계획을 세우라고 무수히 강조하고 있습니다만, 실제 계획을 세우시는 분들은 별로 없어 보입니다. 혹자는 "계획은 무슨...... 매년 높은 금리로 투자하면 장래에 자연히 많은 돈을 모을 수 있는거지"라고 말씀하시기도 합니다. 실제로 매년 9%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고객에게 제시하였는데, 어떤 분들은 올해 15%이상의 수익을 얻으셨다고 합니다. 그 분들이 물론 매우 뛰어난 운용능력을 보유하고 계심을 인정하지만, 한편으로는 과연 매년 그렇게 수익을 올릴 수 있을까?라는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3.기간손해에 대한 귀하의 견해는?
혹시, 대출이자는 연체하시면서 이자가 붙지않는 일반저축통장에 급여를 남겨놓으시는 경험을 해보셨습니까? 바쁜이유도 있고, 게으른 이유도 있고, 여러 이유로 그런 경험들이 한 두번은 있을 것입니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천만원으로 한분은 3년만기 9%예금에 가입하셨고, 또 한분은 올해 10%금리의 1년 짜리 상품에 가입하셨습니다. 향후 금리예측과 상관없이 단순히 기간계산을 하여 봅시다. 9%예금자의 3년후 총 원리금은 12,950,290입니다. 그런데, 10%의 예금을 하시던 분이 매년 만기후 한달동안 찾지 않아 재연장을 한달후 하게 된다면 이분의 3년후 원리금은 12,996,603원이 됩니다. 9%예금자와 거의 차이가 없어지게 됩니다.(원래는 13,310,000원을 받아야 하는데)



4.만기가 짧으면 쓰고싶은 유혹이 고개를
이런말 있죠, "돈이 조금 생기니까 여지없이 쓸곳이 생기더라"
보너스가 대표적입니다. 3개월에 한번씩 나오는 보너스를 챙기려 하면 여지없이 누가 결혼하거나 환갑이 있거나, 심지어 아이가 다쳐 병원신세를 지거나 등등, 생각지도 않은 지출항목이 생기게 됩니다.


적금이 만기되어 타게되면 기분좋고, 아이들과 평소에 못해보던 외식도 한번쯤은 생각해볼 것입니다. 너무나 좋은 모습입니다. 당연히 외식한번 하는것 찬성입니다만, 문제는 그 수준이 과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모을 때는 아끼고 아껴 모았는데 쓸때는 1천만원중에 단10만원이란 생각에 좀 과하게 쓰는 경향이 있죠.


이럴바엔 차라리 평소에 짜장면사달라는 아이 한그릇 사주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도 있었을 텐데요.



5.어떻게 해야하나?
어느 중년의 은퇴한 신사분이 제게 찾아와 3억정도 있으니 매월 이자로 생활할 수 있도록 상품소개를 해달라고 하셨습니다. 그때, 드린 말씀이 차라리 만기를 분산하여 장단기 투자를 하라고 하였습니다. 전문가의 목표는 향후 3년후,5년후,10년후의 고객 자산의 설계입니다. 대체로 매월 생활비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은 금리가 싸거나 비과세,세금우대등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금융기관에서는 명확하게 홍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객이 계산하기는 더욱 어렵고요.


장단기 포트폴리오를 잘 짜두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기간에 따른 수익률의 이득이 있습니다.
2)향후 금리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3)새로운 투자수단이 생겼을 때 초과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4)미래의 자산가치를 고정화 시킬 수 있습니다.



6.새로운 금융상식의 제안
계획,계획,계획....... 무조건 높은 금리를 찾아 다니지 마세요. 주변에는 보석과도 같이 자신에게 맞는 상품이 수도 없이 많습니다. 현명한 투자자는 어디에 투자할 것인지를 제일 먼저, 가장 심각하게 판단합니다. 그 다음에 금리를 비교하게 되죠. 누구나 다 이런 방식으로 투자를 결정한다고 말하지만, 제가 상담해본 결과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상식을 지키기가 이렇게도 힘듭니다.